경제206 [경제금융용어 700선] 198. 디플레이션 디플레이션(Deflation)이란?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디플레이션하에서는 물가상승률이 마이너스로 하락하는 인플레이션이 나타납니다.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원인은 생산물의 과잉공급, 자산거품의 붕괴, 과도한 통화 긴축정책, 생산성 향상 등 다양합니다. 그러나 궁극적으로는 유통되는 통화의 양이 재화 및 서비스의 양보다 적기 때문에 화폐가치는 상승하고 반대로 물가는 하락하는 디플레이션이 발생한다는 점에 이견이 없습니다. 디플레이션: 유통되는 통화의 양 < 재화 및 서비스의 양 ▶ 화폐가치 ↑ 물가 ↓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면 통화의 가치는 상승하고 실물자산의 가치는 하락함에 따라 인플레이션과 반대 방향으로 소득 및 부의 비자발적 재분배가 발생합니다. 이외에도 실질금리 상승에 따른 총수요 감.. 2023. 12. 14. [경제금융용어 700선] 197. 디커플링/커플링 디커플링(Decoupling)이란? 탈동조화라고 번역할 수 있는데, 어떤 나라나 지역의 경제가 인접한 다른 국가나 전반적인 세계 경제의 흐름과는 다른 모습을 보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최근의 디커플링의 예로는 금융위기 이후 신흥국가나 유로지역 국가 등이 특히 미국 경제와 다른 모습을 보이는 것을 들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주가나 금리, 환율 등 일부 경제 변수의 흐름이 국가 간 또는 특정국가 내에서 서로 다른 흐름을 보이는 현상도 디커플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국가 간의 경우 미국의 주가와 한국의 주가가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한 국가 내에서의 경우 주가가 하락함에도 해당국 통화가 강세 현상을 보이는 경우 등을 말합니다. 커플링(Coupling)이란? 반대로 한 나라 또는 지역의 경제가 인접한 다른 .. 2023. 12. 7. [경제금융용어 700선] 196. 디스인플레이션 디스인플레이션이란? 물가수준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나 물가상승률은 둔화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소비자물가상승률이 2015년에는 5.0%이었으나 2016년에는 3.5%, 2017년에는 2.0% 등으로 낮아지는 경우 매년 물가상승률이 0보다 크기 때문에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수준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지만, 상승률은 5.0%→3.5%→2.0%로 로 낮아진 바 있는데 바로 이러한 현상을 디스인플레이션(disinflation)이라고 합니다. 디스인플레이션은 단기간에 그치면 크게 걱정할 일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에너지가격 하락이나 생산성 증대 등 공급요인으로 인한 일시적인 물가상승률의 둔화는 경제에 이로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디스인플레이션이 계속돼 물가상승률의 추가적인 하락이 전망되는 경우에.. 2023. 12. 6. [경제금융용어 700선] 195. 디레버리징 디레버리징(deleveraging)이란? 부채를 축소하는 것을 말합니다. 미시경제 측면에서 보면, 가계나 기업 등 개별 경제주체의 대차대조표에서 부채의 비중을 낮추는 것을 의미합니다. 경기가 호황일 때는 상대적으로 낮은 금리로 자금을 차입하여 수익성이 높은 곳에 투자해 빚을 상환하고도 수익을 많이 낼 수 있는 레버리지(leverage)가 효과적인 투자기법이 됩니다. 그러나 경기가 불황일 때는 자산가치가 급격히 하락하여 수익성이 낮아지고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되므로 부채를 상환, 정리, 감축하는 디레버리징이 효과적인 투자기법이 됩니다. 디레버리징을 위해서는 경제주체는 자산을 매각하거나 증자를 하거나 해서 자금을 조달해야 합니다. 디레버리징은 자금난을 겪고 있는 민간부문에게는 고통스러운 과정인데, 이는.. 2023. 11. 23. [경제금융용어 700선] 194. 등록발행 등록발행이란? 채권을 실물발행(physical issue) 하지 않고 한국예탁결제원 등 등록기관이 관리하는 채권등록부에 채권자의 성명, 주소, 채권금액 등 권리내역을 등록(book-entry)함으로써 증서의 점유 없이도 채권자의 법적 권리를 보장하는 것을 말합니다. 채권자는 등록절차를 마침으로써 채권자로서의 권리가 확보되며, 채권의 매매, 질권 및 담보권의 설정, 신탁재산의 표시 등은 채권등록부 기재를 통하여 해당 채권의 발행자 및 제3자에게 대항할 수 있습니다. 채권 발행자 입장에서는 실물 발행비용이 절감되고, 원리금을 지급할 때 실물 확인절차를 생략할 수 있는 등 업무처리가 간편해지는 이점이 있습니다. 채권자의 입장에서도 실물보관에 따른 위험부담이 없고 보관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습니다. 현재 대부.. 2023. 11. 21. [경제금융용어 700선] 193. 듀레이션 듀레이션(duration)이란? 채권에서 발생하는 현금흐름의 가중평균만기로 투자자금의 평균회수기간을 의미합니다. 듀레이션은 채권의 현금흐름 발생기간(t)에 각 시점 현금흐름의 현재가치가 채권가격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가중치로 곱하여 산출합니다. 채권의 발행만기는 최종 현금흐름 시점을 나타내는 데 비해 듀레이션은 만기 이전에 발생하는 모든 현금흐름을 감안한 평균회수기간이기 때문에 만기 이전에 현금흐름이 발생하는 이표채권의 듀레이션은 항상 채권의 발행만기보다 짧습니다. 할인채의 경우 현금흐름이 만기시점에 한번만 존재하므로 듀레이션과 만기가 같습니다. 듀레이션은 채권의 만기, 표면금리, 만기수익률 등에 따라 결정됩니다. 먼저 듀레이션은 일종의 만기 개념이므로 만기에 비례하여 길어집니다. 또한 채권의 표면금리가 .. 2023. 11. 18. 이전 1 2 3 4 ··· 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