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수입제한조치란?
세이프가드(safeguard)라고도 하며, 특정 품목의 수입이 급증하여 국내 업체에 심각한 피해가 발생하거나 그럴 우려가 있을 경우, 수입국이 관세 인상이나 수입량 제한 등을 통해 수입품에 대한 규제를 할 수 있는 제도이며 무역장벽의 하나라고 볼 수 있습니다.
현재 세계무역기구(WTO; World Trade Organization)도 가입국들이 세이프가드 조처를 할 권리를 인정하고 있습니다.
수입 물품에 대한 수량제한, 관세율 조정 및 국내산업의 구조조정을 촉진하기 위한 지원정책 등이 세이프가드로 동원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세계무역기구의 세이프가드 협정은 제한적으로 취해져야 하고 세이프가드 조처를 하는 수입국은 해당 물품의 수출국에 적절한 보상을 해줄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금융용어 700선] 152. 꼬리위험 (0) | 2023.09.05 |
---|---|
[경제금융용어 700선] 151. 긴축정책 (0) | 2023.09.05 |
[경제금융용어 700선] 149. 기회비용 (0) | 2023.09.03 |
바나나현상 님비현상 핌피현상 의미 차이점 (1) | 2023.09.03 |
[경제금융용어 700선] 148. 기펜재 (0) | 2023.09.02 |
댓글